본문 바로가기
코딩/파이썬

파이썬 자료형

by 일호15 2021. 8. 2.
# a = 2
# b = 2.0
# c = '2'

 

 

안녕하세요! 일호15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기본 자료형을 두루두루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는 코딩을 통해 컴퓨터에게 작업을 지시할 수 있는데요. 지시를 내리면 컴퓨터는 작업을 수행하고, 완료된 결과를 보고하게 됩니다.

 

프로그램에 데이터를 입력하면 컴퓨터는 이를 처리한 후,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데요.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남몰래 다양한 임시 데이터를 활용하게 됩니다.

 

 

1 숫자

더보기

파이썬에서 숫자를 다룰 때, 정수(int)와 실수(float) 타입으로 구분한다.

 

정수는 실수에 포함되는데, 굳이 정수를 따로 빼놓은 이유가 뭘까 싶다. 파이썬에서 실수 계산 시 오차가 있기 때문이다. 오차를 감안하고서라도 실수를 써야겠다 싶을 때, 실수형을 쓰면 된다.

 

int : integer

float : floating point (부동 소수점 - 몰라도 상관 없다.)

 

 

2 문자열

더보기

파이썬 코드를 보면, 블라블라 영어가 써있다. 사실 키보드로 입력할 수 있는 건, 숫자나 기호를 제외하면 문자밖에 없는 듯 하다.

 

하지만 블라블라 코드 속 모든 글자가 다 데이터를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가 아닌 문자(함수 등)도 있고, 데이터인 문자도 있다. 데이터로서의 문자를 문자열(str) 이라고 한다.

 

str : string

 

 

3 리스트

더보기

리스트(list)는 데이터 묶음이다. 널브러져있는 많은 데이터를, 하나의 리스트에 몰아넣으면 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

 

낱개들을 한줄로 줄세운다는 느낌으로 보면 되겠다. 1차원 수직선 x축을 떠올려도 좋다.

 

 

4 튜플

더보기

튜플(tuple)은 순서쌍을 의미한다. 수학시간에 봤던 (a, b)와 느낌 비슷하다.

 

사실 튜플에 기능 몇개 추가하면 리스트가 된다. 튜플은 나사 빠진 리스트라고 보면 된다. 리스트에서 기능이 빠지기만 했으니, 사용하기 불편할 수 있다. 하지만 기능이 없을때의 장점이 있다.

 

1 튜플의 기능만으로도 충분할 때, 튜플을 쓰면 리스트보다 작업 속도가 빠르다.

2 튜플은 데이터 가공 기능이 없다. 데이터를 보존해야할 때, 즉 실수로라도 원본을 바꾸면 안될 때 튜플 쓰면 좋다.

 

 

5 딕셔너리

더보기

딕셔너리(dict)는 사전이라는 뜻이다. 백과사전할 때 그 사전이다.

 

리스트가 1등부터 100등까지 줄세운다고 하면, 1등은 그저 '1등'으로 불릴 뿐이다. 하지만 100명의 사람에게는 저마다의 이름이 있다. 딕셔너리는 1등~100등 이라는 숫자 대신, 그들의 이름으로 그들을 부른다.

 

백과사전의 아무 페이지를 펼쳤다고 하자. 단어와 뜻풀이가 쭉 나올 것이다. 하지만 단어가 써있는 자리에, 단어 대신 숫자가 차례대로 써있다면? 각각의 뜻풀이가 몇번째인지만 알려줄 뿐, 그 단어의 이름은 알 수 없게 된다.

 

dict : dictionary

 

 

그렇군..! 내일 저녁은 치킨이다!

 

 

 2021  +  08  +  02  =  2031
'2021' + '08' + '02' = '20210802'

 

반응형

'코딩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반복문: for, while  (0) 2021.08.16
[파이썬 수학]연산의 우선순위  (0) 2021.08.12
파이썬 함수  (0) 2021.08.09
파이썬 조건문 개념  (0) 2021.08.05
코딩이란?  (0) 2021.07.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