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딩/파이썬

파이썬 input

by 일호15 2021. 8. 30.
# 카카x톡을 쓰는 사람은 굉장히 많다.
# 그 모든 사람들은, 저마다 다른 메시지를 입력한다.

 

 

안녕하세요! 일호15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입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빅데이터라는 말이 있는데요. 잘은 모르지만, 많은 데이터를 다루는 느낌인 듯 해요. input은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스킬입니다. 로그인을 할 때, ID를 입력받는 것 처럼요.

 

 

1 입력

더보기

파이썬을 배우다보면, 다양한 입력에 대해 알게된다. 그 중 하나는, 사용자의 메시지를 즉석으로 입력받는 것이다. 크롤링이 이미 인터넷에 존재하는 정보를 받아오는 것이라면, 사용자 개개인이 뭘 입력할지는 예측할 수 없다.

 

약사는 환자 개개인에 맞추어 적절한 처방을 내린다. 뛰어놀다 넘어진 어린아이에게 비타민을 건네지는 않는다. 프로그램도 마찬가지다. 사용자에 따라 달라지는 저마다의 입력에 대해, 각각 적절한 처방을 내놓는다. 검색어가 다르면, 다른 검색결과를 내놓는다.

 

 

2 input

더보기

input 함수의 용법을 알아보자.

 

input("메시지를 입력하세요: ")

 

이 코드를 파이썬으로 실행시켜본다면, 뭐가 뭔지 단박에 알 수 있을 것이다. 메시지를 입력하라는 권유를 받았다면, 너그러운 마음으로 메시지를 입력해보자.

 

참고로, 위 코드의 "메시지를 입력하세요: " 기능을 프롬프트(prompt) 라고 한다. prompt는 '말을 하도록 유도하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파이썬 강의를 보다보면 >>> 라는 표시를 보기도 한다. 이 또한 입력을 유도하는 프롬프트다.

 

 

3 자료형 변환

더보기

메시지 입력, 검색창을 떠올려보자. 누군가는 숫자를 입력하고, 누군가는 글자를 써 넣을 수도 있다. 어떤 타입의 데이터가 들어올지 모르므로, 입력받은 메시지는 우선 문자열(str) 타입으로 처리된다.

 

만약 누군가가 5를 입력했더라도, 입력받은 결과는 '5'가 된다. 숫자로서의 5가 아닌, 문자로서의 5인 것이다. input의 결과가 문자열임을 인식했다면, 입맛에 따라 데이터의 타입을 바꿀 수 있다.

 

숫자로 변환하거나, 리스트로 변환하는 것이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관련 예시는 잠시 후에 공개된다.

 

 

4 활용

더보기

기억에 남는 input 활용 예시가 두 가지 있다. 다소 난이도가 오르는 느낌이 있지만, 꽤 재미있는 실습이 될 것이다.

 

①while

answer = None

while answer not in ['너가 제일 예뻐', '당연히 너지']:
    answer = input('이거랑 저거중에 뭐가 더 예뻐? ')

print(answer, 'ㅎㅎ')

 

 

②크롤링

예시 코드는 생략했다. 프로그램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구조만 살펴보겠다.

input을 통해 검색어를 입력받는다 -> 검색어가 달라질때마다 매번 데이터를 수집한다.

똑같은 코드로, 검색어가 달라질때마다 새롭게 크롤링을 할 수 있다는게 뭔가 신기했다.

 

 

일단 문자열로 입력 . .

 

 

a = int(input("당신의 숫자는? "))  #문자열->정수형

b = input("문장을 하나 입력해보세요: ").split()  #문자열->리스트

 

반응형

'코딩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메서드  (0) 2021.09.06
파이썬 함수 return  (0) 2021.09.02
파이썬 자료형 변환  (1) 2021.08.26
파이썬 슬라이싱, 인덱싱  (0) 2021.08.23
파이썬 라이브러리  (0) 2021.08.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