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6

[수학2]미분01 [수학2]미분01 안녕하세요! 드디어 올것이 왔는데요. 곱게 돌려보낼 순 없겠습니다. 더 곱게 만들어서 돌려보내야 직성이 풀릴 것 같아요. 미분을 논하기 전에, dx라는 친구를 먼저 알아보면 좋을 것 같아요. 아래 링크를 스리슬쩍 염탐하시면 되겠습니다. >>[고2 수학]dx @사진 여러분은 팬더가 얼마나 빠른지 아시나요? 저는 잘 모르는데요. 팬더가 달리고 있는 사진을 보면, 얼마나 빠르게 달리는지 알 수 있겠네요. 사실은 알 수 없는데요. 달리고 있다 싶긴 한데, 사진만 봐서는 얼마나 빠른지 측정할 수 없겠습니다. 미분이라는 건, '변화율'에 관한 이야기에요. f(x)가 변하는 건 알겠는데, 얼마나 빠르게 변하고 있지? 그것이 미분의 시작입니다. @동영상 팬더가 달리는 영상..을 구해오지는 않았습니다!.. 2020. 11. 12.
[고등수학]그래프를 다뤄보자! [고등수학]그래프를 다뤄보자! 안녕하세요~! 수학은 두 얼굴을 하고 있는데요. 왼쪽은 식이고, 오른쪽은 그래프인 것 같아요. 우리는 수학을 도리도리 시켜서, 식과 그래프를 모두 활용할 수 있는데요. 식을 그래프로, 그래프를 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익혀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화면 우리는 수학 시험지를 받는데요. 각자의 입맛대로 좌표평면을 그릴 수 있어요. 이 사람은 이렇게 그릴 것이고, 저 사람은 저렇게 그릴 거에요. 이 말이 무슨 말이냐..! 좌표축을 조절할 수 있다 라는 느낌으로 받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축을 옮길 수도 있고요, 줄였다 늘였다 할 수 도 있겠습니다. 저는 원점을 옮기는 것을 자주 쓰는데요. 이는 첫번째 좌표평면을 이해하기 위해 '두번째 화면'을 새롭게 빌려오는 느낌이에요. 도형에 .. 2020. 11. 9.
[고등수학]절댓값, 가우스. [고등수학]절댓값, 가우스. 안녕하세요~! 오늘은 귀엽고 깜찍한 |절댓값|과, [가우스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하듯이, 언제 그랬냐는듯 절댓값과 가우스 함수를 마스터 해보겠습니다. @|절댓값| 꾸꾸까까 하던 시절에 하나둘셋을 배웠어요. 정수와 분수, 무리수를 거쳐 실수 체계를 배웠는데요. 실수는 부호에 따라 양의 실수(+), 음의 실수(-), 0으로 분류 할 수 있었어요. 절댓값은 그 크기가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기호인데요. 예를 들어 |-6|을 보면, -6이 0에서부터 얼마나 떨어져있는지 보면 되겠습니다. 여섯걸음만큼 떨어져 있으니, |-6|=6 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절댓값 기호는 '양수' 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절대값 절댓값 둘 중 절댓값이 맞는 표현이.. 2020. 11. 6.
[고3 수학 모의고사]경우의 수01 [고3 수학 모의고사]경우의 수01 안녕하세요~! 수학 문제 출제자는 정말 짓궂은 것 같은데요. 확률과 통계의 꽃, 경우의 수 카운팅을 시작해보겠습니다. 원순열을 배웠다면 느낌 아실텐데요. '구분 가능한' 케이스가 몇 가지인지 세면 되겠습니다. 모든 사람은 제각각 개성이 있는데요. 각각의 사람을 구분하는 경우도 있고, 구분하지 않고 인원수만 세는 경우도 있어요. 상황에 따라 다르니, 무엇을 구분하는지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합의 법칙 어린 아이에게 "이게 몇개야?" 물어보면 여러가지 대답이 나오는데요. "하나.. 둘.. 셋.. 넷.. 네개!" 라고 대답하는 친구도 있고요. "500개!!" 라고 대답하는 귀요미도 있어요. 사실 499갠데 말이에요. >> [고3 수학]합의 법칙 합의 법칙은 '하나둘셋넷'을.. 2020. 11. 3.
[확률과 통계]원순열 [확률과 통계]원순열 안녕하세요! 돌고 돌아 원순열에 도착했습니다! 디스코팡팡은 원 모양인데요. 원판을 돌려도 '배열'이 같다면, 다른 경우로 구분하지 않아요. 물론 디팡은 돌아가면 여기저기 섞이니, 원순열 문제로는 나오기 어렵겠네요. 모든 사람이 이 악물고 탄다는 조건을 걸면서 나올수도 있으니, 방심할 수만은 없겠습니다. @직순열 nPr : 서로 다른 n개에서 r개를 뽑아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 원순열과 구분되는 개념으로, 이를 직순열 이라고 할게요. 4P4를 예로 들어볼게요. 네 사람 A, B, C, D가 있어요. 이 친구들을 한줄기차 세우는 방법의 수는 다음과 같이 구해요. (1)첫번째줄 4명 가능 -> 누구를 세워도 '똑같이' 3명 남음 (2)두번째줄 3명 가능 -> 남은 누구를 세워도 '똑같.. 2020. 10. 30.
[확률과 통계]합의 법칙 [확률과 통계]합의 법칙 안녕하세요~! 하늘에 구름이 있듯이, 수학에는 합의 법칙이 있는데요. 구름 없는 날은 어떻게 하냐고요? 곱의 법칙이 있으니 안심하시면 되겠습니다. 경우의 수 문제풀이의 핵심 개념이고, 간단하지만 쉽지만은 않으니 오늘 내용을 꼼꼼히 익혀두시길 바랄게요. @합의법칙 경우의 수를 센다는 것은, 주먹구구로 하나둘 세던 것을 곱하여 계산과정을 최소화 하겠다는 뜻이에요. 사칙연산을 예로 들어볼게요. (1+1+1+1+1) + (2+2+2+2+2+2) = 1*5 + 2*6 으로 곱할 수 있는 것들을 묶어버렸는데요. 이렇게 하면 신속정확하게 계산을 끝내버릴 수 있겠죠. 합의 법칙은 위의 식에서 +와 역할이 같아요. 곱으로 끝낼 수 있는 건 끝내되, 모든 것들을 한꺼번에 곱으로 처리할 수 없을 때.. 2020.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