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2 수학6

[수학1]지수함수, 로그함수. [수학1]지수함수, 로그함수. 안녕하세요! 수학1 과목이 쉽지만은 않은데요. 지수로그 친구들이 한몫 하는 것 같아요. 혹시 RPG 게임을 해보신 적이 있나요? 제가 아는 어떤 게임은, 총 경험치가 2배가 될때마다 레벨업을 하는데요. 처음에는 경험치 100을 모았을때 레벨업했다면, 다음 레벨에는 경험치 100을 더 모아서 200, 그 다음 레벨에는 총합 400까지. 그 게임 이름은 로그함수RPG 였던 것 같기도 하네요. @지수 우리는 2a+b=0 이라는 식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는데요. 여기서 2a는 a를 두번 더했다는 뜻이네요. a+a = a*2 = 2*a = 2a 가 되었습니다. a^2 는 a를 두번 곱했다는 뜻인데요. a*a = a^2 로 간단하게 표기한 모습이에요. a+a를 2a로 표기하여 상.. 2021. 1. 9.
[수학2]적분 [수학2]적분 안녕하세요! 이제 미분은 지긋지긋한데요. 상큼발랄한 적분으로 넘어갈 시간이에요. 오늘은 적분의 기본 개념에 대해 알아볼건데요. 제가 처음 적분을 배우던 날, 아주 큰 깨달음을 얻었던 때가 있어요. "오 그렇군..!! 근데 이게 무슨말이지!" 정말이지 굉장한 순간이었는데요. 이게 도대체 무슨말인지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dx 수열을 배우고, 수열의 극한에 이어 함수의 극한까지 배웠습니다. 왜 거기서 나오는지 모르겠지만, dx라는 친구가 나왔는데요. dx는 미분과 적분의 기초가 되는 개념이에요. dx라는 친구와 아직 어색하다면, 이 친구와 먼저 친해지길 바랍니다. 알고보면 따뜻할지도 모르거든요. >> [고2 수학]dx @정적분 정적분은 넓이를 구하는 과정입니다. 넓이는 변화량이었습니다. 우사.. 2020. 12. 12.
[수학2]함수의 극한 [수학2]함수의 극한 안녕하세요!! 오늘이야말로 함수의 극한을 알아보기 딱 좋은 날인 것만 같은데요. 극한은 끝장을 보자는 느낌이에요. 극한직업, 극한의 이득. 사전적 의미는 '궁극의 한계' 라고 하네요. 함수의 궁극의 한계..! 스리슬쩍 알아보겠습니다. @lim x->a x축 수직선 상에서 x는 어떤 값이든 취할 수 있는 변수인데요. x가 a의 옆에 있는데, 점점 a한테 가까워지고 있는 상황이에요. 일촉즉발..! 하지만 x가 a에 닿지는 않고, 한없이 가까워지고 있기만 하는 상황이에요. lim x->a+ : x가 a의 오른쪽에서 다가가고 있는 모습이에요. lim x->a- : x가 a의 왼쪽에서 접근을 시도하려나봐요. @lim x->a f(x) x가 a로 점점 다가가고있어요!! 이 때 f(x), 즉 y.. 2020. 11. 15.
[수학2]미분01 [수학2]미분01 안녕하세요! 드디어 올것이 왔는데요. 곱게 돌려보낼 순 없겠습니다. 더 곱게 만들어서 돌려보내야 직성이 풀릴 것 같아요. 미분을 논하기 전에, dx라는 친구를 먼저 알아보면 좋을 것 같아요. 아래 링크를 스리슬쩍 염탐하시면 되겠습니다. >>[고2 수학]dx @사진 여러분은 팬더가 얼마나 빠른지 아시나요? 저는 잘 모르는데요. 팬더가 달리고 있는 사진을 보면, 얼마나 빠르게 달리는지 알 수 있겠네요. 사실은 알 수 없는데요. 달리고 있다 싶긴 한데, 사진만 봐서는 얼마나 빠른지 측정할 수 없겠습니다. 미분이라는 건, '변화율'에 관한 이야기에요. f(x)가 변하는 건 알겠는데, 얼마나 빠르게 변하고 있지? 그것이 미분의 시작입니다. @동영상 팬더가 달리는 영상..을 구해오지는 않았습니다!.. 2020. 11. 12.
[수학2]dx [수학2]dx 안녕하세요!! 오늘은 dx라는 친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직 미적분을 배우지 않았다면 어려울 수 있지만, 최대한 느낌을 이해할 수 있게 정리했습니다. 고등 수학 중 제일 난해한 개념인 만큼, 이번 포스팅으로 확실하게 느낌 잡아보겠습니다! @무한소 무한소는 무한대와 대비되는 양적 개념인데요. '있긴 있는데 엄청 조금 있다'라는 뜻이에요. 현미경으로 봐도 클 정도로 아주아주 작은, 그것보다 더 작은, 점점 더 작아지는 그런 느낌입니다. 미분과 적분을 정의할 때, 극한이라는 개념을 활용하는데요. 무한소를 0의 우극한이라고 생각하시면 느낌이 대략 잡힐 것 같아요. 그 무한소를 기호로 d 라고 표기합니다. 변화량(Δ, delta)의 극한값이라는 의미를 가져요. >> [고2 수학]함수의 극한 @d.. 2020. 10. 7.
[수학1]등차수열의 합01 [수학1]등차수열의 합01 안녕하세요!! 오늘은 온 우주의 기를 모아서 평균을 알아보겠습니다..! 엥? 등차수열의 합인데 웬 평균? 우선 평균에 관한 이야기부터 하나씩 시작해볼게요. @대표값 대표값부터 알아볼게요. 대표값을 직역하면 대표하는 값 인데요. 여러가지 값들이 있는 집단에서, 그 값들을 대표하는 '하나의 값'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예를 들어볼게요. 제가 기말고사를 치르고 성적표를 받았어요. 국어 60점, 수학70점, 영어80점을 받았습니다. 그러면 국영수의 평균은 70점이 되는데요. [국어점수, 수학점수, 영어점수] 세 가지 값이 있는데, 이 점수집단을 평균점수라는 하나의 값으로 표현한거에요. "저 국어60 수학70 영어80 음악60 미술70 체육80점 받았어요!!." 라고 말하면 복잡한 데 .. 2020. 9. 28.